WebKeeper AI DLP

생성형 AI 서비스를 통한 개인정보/기밀정보 유출방지 솔루션

내부자 실수에 의한 생성형AI 서버로의 정보전송, 정보유출 채널로의 악용을 차단하여 귀사의 정보자산을 보호합니다.

N2SF 국가망 보안체계 최적화 솔루션입니다.

28년간 시장 1위

네트워크를 통한 개인정보/기밀정보 유출차단 솔루션 개발에 지속 투자

2023년 생성형 AI 서비스 통제기능 국내최초 개발 및 제1금융 최초적용

그렇기 때문에 ‘소만사의 WebKeeper AI DLP’ 입니다

시장 점유율 1위
AI DLP 솔루션

우리, 신한, 하나, 국민, 산업 등
제1금융 5곳 운용 중입니다. (시장점유율 80%)
제1금융권 최초 도입 및 레퍼런스 확보하였으며
글로벌 엔터프라이즈, 중앙부처, 광역 지자체에서
선제적으로 도입 및 안정화 완료했습니다.

경쟁사 대비 3배
생성형AI 차단 커버리지

경쟁사 대비 3배 규모의 개발전문 인력과
차단 커버리지를 확보했습니다.
패턴변경, 신규서비스 출시에도 실시간 대응으로
신속한 업데이트 지원이 가능합니다.

28년 네트워크 DLP 1위 기업

BMT를 통해 외산 S사를 윈백하며
순수 소만사만의 기술력을 통해
개인정보보호 능력과
성능, 안정성을 입증하며
시장 1위 솔루션이 되었습니다.

생성형 AI를 통한
내부정보 유출 차단하여 귀사의 정보자산을 보호합니다.

WebKeeper AI DLP는 사용자가 입력한 모든 프롬프트와 리스폰스(명령어/응답값)를 로그로 저장하며
대화내역 중 정책이상의 개인정보가 포함된 문장을 입력/전송할 경우에는 차단하고
모든 내역을 로그저장하여 사후감사자료를 확보합니다.

생성형 AI 사용 감사로그 확보

이용자, 이용목적, 이용일, 입출력 내용, 파일 원본 등 기록 및 저장

생성형AI서비스와의 대화기록 모두 저장 (사용자 질의 및 생성형AI서비스 답변)

패킷은 구문분류(Parsing)되어 메신저 형태로 재현

사후감사자료 활용

개인/기밀정보 전송 실시간 차단 (텍스트, 파일)

질의사항 안에 개인정보/기밀정보/신용정보 포함 시 전송차단

개인정보 : 주민번호, 운전면허 등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한 개인정보 패턴 탐지 및 차단

기밀정보: 대화에 특정 키워드 포함된 경우 탐지 및 차단 (ex: 생산수율, 매출액, 핵심기술 등)

탐지 저장된 개인정보내역은 마스킹 처리되어 2차 유출 방지

전송파일 원본저장 및 빅데이터 분석

전송된 파일은 원본 저장되어 사후감사 자료로 활용

생성형AI 서비스를 활용하여 누적된 수백만 건 질의응답 로그 속에서 원하는 정보 3분 이내 검색

키워드, 개인정보패턴, 부서, 사용자, 날짜 등 다양한 기준으로 검색

WebKeeper AI DLP 구성도

WebKeeper AI DLP는
상용화된 대부분의 생성형 AI 서비스를 통제합니다.
생성형 AI 서비스 커버리지는 지속적으로 확장 중입니다.

ChatGPT

Gemini

Copilot

Cursor

GROK

Perplexity

Deepseek

Claude

Wrtn.

Clova X

ChatPDF

BingChat AI

Notion AI

Github Copilot

대표 레퍼런스

행정안전부, 고용노동부, 법무부, 문화체육관광부,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R,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 교육청, 경기도, 경기도 교육청, 인천광역시, 삼성전자, LG전자, SK이노베이션, CJ, 현대 모비스, 현대중공업, 신한은행, KB국민은행, 하나은행, NH농협은행, 우리은행, IBK기업은행 등이 선택한 20년 시장 점유율 1위 유해 사이트 차단 솔루션입니다.

대표 인증 / 특허

유해 · 비업무 · 악성코드 배포사이트 통제, 핵심특허 15건 이상 등록

[인증] 업계 최초 HW전용 어플
라이언스 CC인증 획득

[인증] GS 인증

WebKeeper AI DLP는
<N2SF 모델2. 업무환경에서의 생성형AI 활용> 가이드라인을 충족하는 솔루션입니다.

보안 요구사항 별 기술적 보호조치 요약

영역 보안요구사항 기술적 보호조치
1. 업무 단말 영역 ③ 단말 네트워크 보안 AI DLP (네트워크), 엔드포인트 DLP, VDI, SWG (네트워크)
2. AI 연계체계 영역 ① 생성형AI서비스 이용자/단말인증 AI DLP, 계정관리 (AD)
③ 생성형AI서비스 활용 시 데이터보호 AI DLP (개인정보 전송시 실시간 차단,
전송데이터 원본파일 감사로그 확보)
3. 인터넷 영역 ② 생성형 AI서비스 활용에 따른 데이터 관리 AI DLP(생성형AI서비스 제공자를 통한 감사로그 확보, 모니터링)

생성형 AI 활용 기술적 보호조치 퀵가이드

보안요구사항 기술적 보호조치
1. 엔드포인트 악성코드 유입통제 AV/EDR
2. 엔드포인트 개인정보 유출통제/매체제어/파일암호화 엔드포인트 DLP
3. 엔드포인트 취약점 점검/PC보안 내PC지키미(취약점 점검)
4. 개인정보 유출 실시간 차단 AI DLP
5. 생성형 AI활용 감사로그 확보 (Prompt & Response) AI DLP, 생성형AI서비스 자체제공 감사로그
6. 사용자/부서별 생성형 AI 접근통제 AI DLP, 생성형AI서비스 자체제공 접근통제
7. 네트워크 악성코드 유입통제 SWG(Secure Web Gateway), CDS
8. 네트워크 격리 VDI, 물리적 망분리
9. 유해사이트, 불필요 서비스 차단 등 네트워크 접근통제 SWG
10. 사용자 인증 Active Directory, 강화된 인증 솔루션 (2팩터 인증)

문의

이메일: privacy@somansa.com

전화: 031 – 786 – 8540

*유선연락을 통해 문의주실 경우
요청주신 분의 소속에 따라 AM이 배정됩니다.
배정에 시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이메일 문의 주시면 빠른 진행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