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R 및 악성코드 차단

  •  

    이메일문의

  •  

    전화문의
    02-2655-4162

시장 1위,
SSL/TLS 가시성 확보 및 복호화를 통한 유해사이트 차단 솔루션
WebKeeper Secure Gateway


세이프브라우징 솔루션 웹키퍼 악성코드 차단 유해사이트 차단 솔루션 WebKeeper

암호화전송으로 스니핑에 강한 SSL/TLS,
악성코드 전송, DDos공격 등 데이터 교환 관련 공격에서는 무력화

SSL/TLS는 기존 HTTP의 한계를 상쇄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전세계 트래픽의 72%를 차지하고 있는 SSL/TLS 웹서비스는 송수신자간 데이터교환 행위 중 스니핑, 정보탈취 부분에서 강한 보안성을 자랑합니다. 암호화된 패킷이 오고가므로 해커가 패킷을 탈취하더라도 내용을 파악할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스니핑 부분에서 강점을 보이기 때문에 하지만 이를 역으로 이용한 공격에서는 무력해집니다. 암호화된 패킷을 읽을 수 없기 때문에 무엇이 클라이언트 PC로 전송되었는지 확인할 방법이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악성코드, 랜섬웨어 전송여부를 확인하지 못해 각종 사이버 공격(디도스, APT, 랜섬웨어, 악성코드 등) 에서는 무력화 됩니다.

웹트래픽의 72%는 SSL/TLS 이기에 …
SSL/TLS 가시성 확보로 악성코드/유해사이트 접속차단

웹키퍼는 SSL/TLS를 복호화해 가시성을 확보해 악성코드/유해/비업무사이트 접속을 차단합니다.
우회접속도 차단 가능합니다. 구글번역기를 통한 악성코드/유해사이트 우회접속을 차단합니다. 선별차단도 가능합니다. 구글서비스 중 정보유출이나 악성코드 다운로드 위험이 높은 웹메일, 드라이브는 차단하고 업무와 관련된 캘린더, 검색기능은 허용합니다.
페이스북 계정별 차단도 가능합니다. 도박, 음란 등 불법/유해계정은 차단하고 회사홍보페이지 접속은 허용할 수 있습니다.

귀사가 비업무 사이트, 유해사이트를 차단하지 않으면
얼마를 손해보는지 계산해보십시오

직원 1천명, 평균월급 3백만원, 하루 8시간 근무기업에서 모든직원이 하루에 10분씩 비업무사이트에 접속한다면 손해비용은연 7억 6천 3백만원입니다. 악성코드감염으로 기밀정보가 유출된다면, 손해비용은 무한대로 늘어나게 됩니다.

9년간 유해사이트
1억 2천 7백만 회 보안업데이트
7년간 악성코드
1억 2천 6백만회 보안업데이트

악성코드사이트 암호화웹사이트 비업무사이트 및 넷앱스 등 유해사이트를 2010년부터 2019년까지 9년간 총 1억 2천 7백만 회 보안업데이트하였습니다.
30분 간격 보안업데이트, 일 1회 ‘웹키퍼 악성코드 데일리 카톡’, 주 1회 ‘웹키퍼 위클리’, 연 1회 ‘웹키퍼 애뉴얼’ 등 보안업데이트 공시시스템과
악성코드분석센터운영, 1000여개 고객사를 통한 자동수집/분석시스템 등 6년간 구축해온 국내최대 인프라를 통해
가장 빠르고 정확한 보안업데이트 내역을 고객들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1천개 고객사로부터
한국인이 접속하는
비업무사이트 수집, 차단

30분 간격으로
모든 사이트의 악성코드
감염여부 점검, 차단

기획단계부터 SSL/TLS 가시성확보 솔루션과 일체화 설계로
실제상황에서 외산대비
패킷처리성능이 30%이상 향상

대표 인증/특허

  • 소만사 웹키퍼 CC인증 획득

    [인증] 리눅스 플랫폼으로
    국정원 CC인증 획득 (2016)

  • 소만사 WebKeeper 유해사이트 차단

    [특허] 유해사이트 차단장치
    및 방법

대표 레퍼런스

정부통합전산센터, 고용노동부, 국세청, 산림청, 방위사업청, 우정사업본부, 경기도청, 경상남도청, 충청북도청,
KB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NH농협은행, KEB하나은행, 기업은행, SC은행, LG, 삼성, 현대, SK, KT, 포스코, 두산, CJ, 롯데, 금호아시아나 그룹 등이 선택한 솔루션 입니다.

  • SSL/TLS 복호화 솔루션 웹키퍼 레퍼런스 행정안전부 정부통합자치센터
  • SSL/TLS 가시성확보 및 유해사이트 차단 솔루션 고용노동부
  • 국세청 소만사 유해사이트 차단 솔루션 웹키퍼 도입
  • 산림청 소만사 유해사이트 차단 솔루션 웹키퍼 프록시 도입
  • 소만사 악성코드 차단 솔루션 방위사업청 도입
  • 세이프브라우징 솔루션 레퍼런스 우정사업본부
  • 소만사 세이프브라우징 솔루션 경기도청에 도입
  • 악성코드 배포사이트 차단 솔루션 경상남도청에 구축
  • 웹키퍼 레퍼런스 충청북도청
  • 유해사이트 차단솔루션 구축사이트 KB국민은행
  • 세이프브라우징 솔루션 레퍼런스 신한은행
  • 금융권 SSL/TLS 기반 악성코드 배포차단 솔루션 우리은행 도입
  • 비업무 사이트 차단 솔루션 NH농협은행에 공급
  • SSL/TLS 가시성확보 및 유해사이트 차단 보안솔루션 KEB하나은행 구축
  • IBK기업은행에서 소만사 웹키퍼 도입
  • 음란사이트 차단 솔루션 웹키퍼 SC제일은행에서 도입
  • 삼성 유해사이트 차단 솔루션 도입
  • 소만사 세이프브라우징 솔루션 웹키퍼 LG에 구축
  • 웹키퍼 레퍼런스 현대
  • SK 소만사 웹키퍼 도입
  • 불법사이트 차단 솔루션 KT에 구축
  • 유해사이트 차단 솔루션 레퍼런스 포스코
  • 두산, 악성코드 배포사이트 차단 솔루션 웹키퍼 도입
  • 롯데, 비업무 사이트 차단 솔루션 웹키퍼 구축
  • CJ 세이프브라우징 솔루션 도입완료
  • 금호아시아나 웹키퍼 도입

WebKeeper가 있어야 준수할 수 있는
법 규정

개인정보보호위, 금융감독원, 금융위원회 등 5대 기관의 6대 규정을 준수합니다. SSL/TLS 기반으로 만들어진 도박사이트와 구글 번역사이트 우회접속을 차단합니다.

개인정보보호법고시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조항 내용 WebKeeper 기능
9조
악성
프로그램 등
방지
악성프로그램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보안프로그램 운영 필요 악성코드배포/유해사이트 차단

금융위원회 <전자금융 감독규정>

조항 내용 WebKeeper 기능
16조 ② 악성코드 감염시 확산 및 피해최소화 조치 악성코드 배포 웹사이트 차단
17조 ⑤ 단말기에서 음란, 도박 등 비업무사이트 접근 통제대책마련 비업무사이트 접근 차단

정보통신망법고시 <개인정보의 기술적 관리적 보호조치 기준>

조항 내용 WebKeeper 기능
7조
악성프로그램
방지
  • – 백신SW 일1회 이상 주기적으로 갱신/점검
  • – 악성프로그램 관련 경보 or 백신SW, OS 업데이트 공지시
    최신 SW로 즉시 갱신/점검
악성코드 배포 웹사이트 차단



브로슈어

 
 

문의

 

이메일: privacy@somansa.com
전화: 02 – 2655 – 4040

*유선연락을 통해 문의주실 경우
요청주신 분의 소속에 따라 AM이 배정됩니다.
배정에 시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이메일 문의 주시면 빠른 진행이 가능합니다.
[]
1
브로슈어 다운로드
회사명
회사명your full name
부서명
부서명your full name
성함
성함your full name
직급
직급your full name
연락처
연락처
이메일
문의사항
Commentsmore details
0 /

개인정보

수집동의

수집목적 소만사 뉴스레터 수신 및 제품상담안내

보유기간 추후 발송되는 뉴스레터 하단 수신거부버튼 클릭 또는 고객요청시(privacy@somansa.com) 삭제됩니다.

수집정보종 회사명,부서명, 성함, 직급, 연락처, 이메일 등 명함상 정보 (민감정보 및 고유식별정보를 일체 수집하지 않습니다.)

Previous
Next



관련 자료

SSL/TLS 기반 웹서비스는 패킷이 암호화 전송됩니다. 해커의 정보탈취 위험으로부터 안전합니다.
하지만 이를 악용해 역으로 공격을 한다면 '무엇이 오고가는지' 알지 못해 속수무책으로 당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