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DLP의 역사
DLP(Data Loss Prevention, 내부 정보 유출방지)의 역사는 인터넷 서비스의 발전과 그 궤를 같이한다.
DLP 솔루션은 웹메일 서비스의 활성화와 함께 탄생했다.
1997년, 핫메일(Hotmail)과 한메일 같은 웹메일 서비스가 1000만 가입자를 확보하며 대중화되었다.
하지만 빛이 있으면 그림자가 있듯, 편리함의 이면에서는 기업의 기밀정보나 고객개인정보가 외부로 유출되는 사건들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편리한 웹메일이 정보유출의 통로가 되기도 한 것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네트워크 DLP 솔루션이 세상에 등장했다.
2000년대 초반에는 MSN, 네이트온(NateOn) 등 메신저 서비스가 폭발적으로 성장했고, 이에 따라 메신저를 통한 파일전송 통제가 DLP의 주요기능으로 자리 잡았다.
수 기가바이트(GB) 용량의 USB가 대중화되면서, 이를 통한 자료유출을 막는 ‘매체제어’ 기능이 중요해졌다.
이는 네트워크가 아닌 PC 자체를 통제해야 했기에, 엔드포인트(Endpoint) DLP 솔루션이 개발되었다.
구글 드라이브를 필두로 한 웹드라이브(웹하드) 시대를 거쳐, 이제 인터넷의 진화는 ChatGPT, 제미나이(Gemini)와 같은 생성형 AI 서비스에 이르렀다.
요즘 세대는 인터넷을 검색 엔진이 아닌 생성형 AI로 처음 접하기도 한다.
생성형 AI는 회의록 요약, 전략 수립, 코딩, 번역, 창작 등 일하는 방식을 모든 분야에서 혁신하고 있다.
DLP 입장에서는, ‘AI DLP’의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