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만사 | VD-i, 외산 가상화 솔루션 7회 윈백

PRESS

프레스

VD-i, 외산 가상화 솔루션 7회 윈백

소만사(대표 김대환)는 자사 논리적 망분리 PC가상화 솔루션 ‘VD-i(브이디아이)’가 2년에 걸쳐 외산 솔루션을 7회 윈백했다고 밝혔다.

윈백으로 누적된 라이선스 수량만 2만 유저 이상이다.

 

가상화 솔루션은 외산 시트릭스와 VM웨어가 전통적으로 양분하고 있는 시장이다.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에서 승리한 비결은 3가지로 요약된다.

외산대비 30% 성능향상, 30% 가격 경쟁력, 3배 이상 기술지원 대응력이다.

 

소만사는 VDI 소프트웨어는 물론이고 하드웨어(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AD최적화를 수행했다.

그 결과 VD 접속속도를 외산대비 30%이상 단축시킬 수 있었다. 외산제품은 전체 최적화가 되지 않아 접속시간이 30초 이상 소요되는 경우도 있다.

 

소만사는 라이선스 비용절감 이외에도, 서버 하드웨어 측면에서 원가 절감을 크게 이끌어 냈다.

5년 TCO(총소유비용)관점에서 30% 원가절감이 가능했던 이유다. 실제로 A은행 프로젝트 진행 시, 외산기업은 100대 서버로 제안했으나 소만사는 80대 서버로도 충분히 구축할 수 있었다.  

 

‘VD-i’는 소만사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한  솔루션이며 100여명이상의 기술엔지니어 인력풀을 보유하고있기 때문에 외산대비 압도적인 기술지원이 가능하다. 망분리를 구축한 경우, 연초 트래픽이 가장 많이 폭주한다. 연말정산 때문이다. 외산도 매번 장애가 발생했던 연말정산 시기에 장애없이 마무리될 수 있었던 이유는 소만사 VD-i 솔루션의 뛰어난 기술지원 역량 때문이었다.

 

고질적 문제로 지적되어 왔던 엔드포인트 보안 솔루션과의 충돌문제도 해소했다.

소만사가 국내1위 엔드포인트 보안 솔루션 개발업체였기 때문에 가능했다.

외산제품 도입 시, 엔드포인트 보안솔루션과 충돌이 발생해도 책임소재를 떠넘기는 행동 때문에 문제해결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됐다.

 

마지막으로 프린터, 웹캠, USB등 엔드포인트 디바이스 처리역량 역시 외산보다 뛰어나다.

특히 국내 특화된 엔드포인트 디바이스 처리는 외산의 지원을 기대하기 어렵다.

 

연구개발을 총괄하는 소만사 김태완 연구소장은 “과거 독보적이었던 외산 VDI 기술력은 초기 도입된지 10년이 지난 현재 보편적 기술이 되었으며 국내업체가 충분히 대체할 수 있는 수준” 이라며 “VD-i는 오픈소스 위주로 개발되어 상용라이센스 제약에서 자유롭다”고 말했다. 이어 “고객이 소만사 ‘VD-i’ 로 윈백을 결정한 이유는 외산솔루션 운영시 기술지원 부족과 급격한 라이선스 정책변화 때문이었다”고 밝혔다.

 

‘VD-i’는 국내5대 은행 중 하나인 A금융기관, 세계1위  디스플레이 제조기업 등에서 운용되고 있으며, 국정원 보안기능확인서를 획득한 제품이다.

 

이전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구센터 DB-i 수주 2023.08.24
다음글 보안 넘어 VDI 사업 진출한 소만사… “성능‧가격 모두 외산대비 우월” 2023.10.04
목록